
중국에서 여성 출연자가 여성 이슈를 다룬 스탠딩코미디가 인기를 끌자 불안감을 해소하는 진통제 역할을 한다는 평가와 함께 '성별 갈등'을 우려하는 당국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2일 홍콩 성도일보에 따르면 텐센트와 아이치이 등 중국 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는 최근 '토크쇼와 그(Ta)의 친구들 2', '희극지왕 만담 시즌2' 등 스탠딩코미디쇼가 방영 중입니다.
성도일보는 이전 시즌들에 비해 올해는 이들 쇼의 여성 출연자가 늘어 40%가량 된다고 전했습니다.
45세 왕샤오리는 '독신 무자녀'를 강점으로 내세우면서 "45세에 결혼하지 않은 사람이 어떡해야 하는지 아무도 모르니 내가 모범이 되겠다"는 말로 주목받았습니다.
전직 승무원 '시하'는 넉넉한 치수의 티셔츠를 입고 나와 항공사 복장 규정을 비판했고, 지난해 시즌에 월경을 소재로 삼아 주목받은 '차이차이'는 올해에는 여성 속옷의 와이어가 여성의 심신에 가하는 압박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동부 산둥성에서 온 50세 '방 담임'은 남편의 가정폭력와 외도에도 부모에게서 '참으라'는 말을 들었지만, 두 딸을 데리고 이혼을 결심했다는 이야기를 털어놨습니다.
중국의 스탠딩코미디 업계는 코로나19 대유행과 OTT 보급을 통해 최근 규모를 키우고 있습니다.
성도일보는 경기 침체와 높은 실업률, 직장 내 경쟁 심화 속에 스탠딩코미디 속 유머와 비판이 불안감을 해소하는 진통제 역할을 해왔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여성 출연자들이 남존여비나 출산·육아 걱정, 성별 부담, 직장 내 차별 등 여성들이 겪어온 문제를 다루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싱가포르 매체 연합조보는 여성 출연자들이 더욱 대담하게 발언하고 화제의 금기를 깨는 것은 전통적 성별 의식과 권력 구조가 도전받는 상황임을 보여준다고 해석했습니다.
중국 당국 일각에서는 이 같은 '여성주의' 스탠딩코미디쇼를 탐탁지 않게 보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저장성 당 위원회 선전부 산하의 '저장 선전'은 "스탠딩코미디쇼가 사회 의제 토론에 독특한 공간을 제공하지만, 일부 내용은 사상 충돌의 장에서 감정 배출의 전장으로 비화하고 있다"며 "이는 집단적 이해에 이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성별 대립을 자극하는 촉매제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스탠딩코미디 #OTT #여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