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하는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는 과학 논문이 발표됐다고 영국 BBC 방송이 현지시간 15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팀은 토마토가 물 부족으로 고통을 겪고 있음을 나타내는 소리를 내면 암컷 나방들이 이 토마토에 알 낳기를 피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팀은 2년 전에는 식물들이 고통을 겪고 있거나 건강하지 않을 때 특정한 소리를 내더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식물들이 내는 '비명'은 인간에겐 들리지 않지만, 많은 곤충과 박쥐, 그리고 일부 포유류에는 들린다는 것입니다.
이 대학 요시 요벨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하는 것을 입증한 첫 사례"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현 단계에서는 추측에 불과하지만, 온갖 종류의 동물들이 식물에서 들리는 소리를 바탕으로 꽃가루를 옮겨줄 것인지, 식물 안에 숨을 것인지, 식물을 먹을 것인지 등의 결정을 내리는 것일 수도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나방들이 소리에 반응하는 것이지 식물의 모습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하기 위해 주의 깊게 통제된 일련의 실험을 진행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서로 다른 식물들이 어떤 소리를 내는지와 함께 다른 생물종들도 이런 소리를 바탕으로 꽃가루를 옮겨줄 것인지, 식물 안에 숨을 것인지, 식물을 먹을 것인지 등의 결정을 내리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식물들이 서로에게 정보를 전달해 갈수기에 물을 아끼는 것과 같은 식으로 반응하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또 다른 연구 영역이라고 텔아비브대 릴라흐 하다니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는 매우 흥미로운 질문"이라며 "만약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그에 대해 가장 걱정이 많은 생명체는 다른 식물로,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연구진은 식물들이 의식을 지닌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BBC 뉴스는 전했습니다.
식물들이 소리를 일부러 내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 처한 여건이 변화해 물리적 효과가 발생해서 소리가 난다는 설명입니다.
이번 연구가 보여주는 것은 이런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다른 동물들에게는 소리로 전달되는 정보가 유용할 수 있으며, 어쩌면 다른 식물들에도 그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경우 식물들과 동물들이 소리를 내고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공진화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다니 교수는 강조했습니다.
공진화란 서로 다른 종이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런 연구 결과가 담긴 논문은 오픈 액세스 저널 'e라이프'(eLife)에 지난해 12월 게재됐습니다.
#식물 #소리 #동물 #이스라엘연구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jus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