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씨가 작성한 글[X 캡처][X 캡처]


일본에 거주 중인 한국인이 한 건물 창문에 몰려든 파리 떼를 이상하게 여겨 경찰에 신고한 사연이 온라인상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지난 5일, SNS 플랫폼 X(옛 트위터)에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경찰서에 전화해 봤다”라는 글과 함께 한 장의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작성자 A씨는 길을 걷던 중 우연히 위를 올려다보다가, 한 맨션 창문에 수십 마리의 파리가 몰려 있는 모습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한 낌새를 느낀 A씨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검색하던 중, 이와 같은 현상이 고독사의 징후일 수 있다는 내용을 확인하고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이후 A씨는 댓글을 통해 “역시 고독사였다”라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습니다.

해당 게시글은 618만 회가 넘는 조회 수를 기록하며 빠르게 확산했습니다.

누리꾼들은 “상상도 못 했던 상황인데, 앞으로는 더 주의 깊게 살펴봐야겠다”, “관찰력이 없었다면 더 오랜 시간 방치됐을지도 모르겠다”며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표현했습니다.

고독사는 현재 일본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 일본 내 고독사 사망자는 2만 명을 넘었으며, 이 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8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사망 후에 한 달 이상 발견되지 않은 사례도 약 7천 건에 달합니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고독사 사망자는 2021년 3,378명에서 2023년 3,661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이 중 41.4%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인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취약계층일수록 고독사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고독사 징후로 ▲집 앞에 우편물이나 전단지가 계속 쌓여 있는 경우 ▲현관 주변에서 악취가 나거나 파리, 벌레가 모여드는 경우 ▲며칠 동안 불이 꺼지지 않거나 TV가 계속 켜져 있는 경우 ▲마른빨래가 오랫동안 그대로 걸려 있는 경우 ▲공과금이 연체되었거나 쓰레기 더미에 술병이 많은 경우 등을 언급하며 이웃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고독사 #독거노인 #독거청년 #1인가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서(ms3288@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