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직장인들[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주 4일 근무제가 고용주의 수익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간 3일 CNN에 따르면, 영국의 '4일 근무제 재단'(4 Day Week Foundation)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6개월간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에는 17개 기업과 자선단체, 비영리단체 등이 참가했으며, 약 1천 명의 직원들은 동일한 급여와 업무량을 유지하면서 근무 시간을 줄였습니다.

대부분은 주 4일제를 선택했고 5곳은 2주에 9일 근무제를 선택했습니다.

앞서 미국과 영국, 독일에서 실시된 유사한 실험들에서는 근로자들이 더 행복하고 건강해졌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실험에서는 근로자들뿐 아니라 고용주도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근무 시간은 줄었지만 오히려 매출이 증가하고 병가 일수가 줄어드는 결과가 나오면서 고용주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특히, 런던에 본사를 둔 소프트웨어 회사인 브랜드파이프(BrandPipe)는 매출이 거의 13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브랜드파이프의 CEO인 제프 슬로터는 "이번 실험은 브랜드파이프에게 압도적인 성공이었다"며 "주 4일 근무제는 기업들이 시도해 볼 만한 훌륭한 제도"라고 말했습니다.

브랜드파이프를 포함해 매출 자료를 제공한 4곳 중 3곳은 실험 기간 중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매출이 감소한 한 곳은 시범 운영 직전 6개월 매출을 보고해, 정확한 실험 자료로 삼기는 어려웠습니다.

또 4곳은 시범 운영 기간, 직원들의 병가와 개인 휴가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일 근무제 재단'은 실험이 끝난 뒤에도 실험에 참가한 모든 조직들이 근무시간 단축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런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마이클 샌더스 런던 킹스칼리지 공공정책 교수는 근무시간 단축 실험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기업들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주 4일제를 적극 수용할 수 있는 기업에서만 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다른 기업들이 시도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AI가 생성한 이미지AI가 생성한 이미지


근무 시간 단축 논의와 관련해, 국내에서도 기대감과 함께 대기업과 영세 중소기업 간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그간 잠잠했던 논의는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대선 공약으로 '주4.5일제 추진'을 내걸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어제(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주 4.5일제 추진'과 관련해 "노동시간 단축을 반드시 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노동시간 단축이 국제적 추세지만 입법을 통한 시행은 갈등과 대립이 너무 심해 불가능하다"며 "사회적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해나가야 될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연간 근로시간은 지난해 기준 1,859시간에 달합니다.

주 4일제 실험을 진행한 영국이 1,499시간인 것과 비교하면 360시간이나 더 많습니다.

#과로 #근무시간 #주4일제 #주45일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림(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1
  • 후속 원해요

    1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