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최근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가 도심 곳곳에서 대규모로 출몰한 가운데, 러브버그의 천적이 없는 이유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30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러브버그는 천적이 누구냐?", "천적이 없다면 제발 살충제라도 뿌려달라"는 등의 토로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인천 계양산을 점령한 러브버그 사체 영상이 화제가 되면서, 러브버그에 대한 혐오감은 더 커졌습니다.

현재까지 러브버그의 성충은 특별한 천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새는 물론이고 개구리나 두꺼비, 다른 곤충들도 러브버그를 잡아 먹지 않는데, 과학자들은 이 이유가 러브버그 성충이 지닌 '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 국제환경대학원 사라소타 카운티 캠퍼스의 연구원 캐럴 와이엇 이븐스는 지난 2020년 기고한 글에서, 러브버그는 '산성 맛' 때문에 포식자들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해외 환경단체 환경 리터러시 협의회(Environmental Literacy Council)도 "러브버그는 신맛이 강하고 껍질이 단단해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들이 먹기를 꺼린다"고 설명했습니다.

산 때문에 러브버그 성충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가 제한적이라는 겁니다.

다만 러브버그 유충은 새, 거미 및 기타 곤충 포식자들이 '아주 맛있게' 여기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러브버그는 인간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지는 않아 해충으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떼지어 날아드는 모습이 불쾌감을 주고, 사체를 방치하면 산성 체액이 차량 페인트를 녹일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차량 등에 붙은 러브버그는 따뜻한 물로 닦아내야 표면 손상을 막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물을 뿌리는 방법으로 러브버그를 쫓아내는 게 효과적이며, 본격 출몰 이후 햇빛이 강해지면 1~2주 안에 저절로 개체 수가 감소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러브버그 #해충 #익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지운(zwooni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2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