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은 '장기적 울분 상태'라는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은 설문조사 업체인 케이스탯리서치를 통해 지난달 15∼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정신건강 증진 관련 조사 결과를 오늘(7일) 공개했습니다.
설문 결과 우리 사회 구성원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을 묻는 항목에 응답자들의 48.1%는 '좋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보통'은 40.5%, '좋다'는 11.4%였습니다.
5점 척도로 따지면 평균 점수는 2.59점으로 '보통' 수준인 3점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좋지 않다'고 답한 이들은 그 원인으로 '경쟁과 성과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37.0%)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타인·집단의 시선과 판단이 기준이 되는 사회 분위기'(22.3%)였습니다.
연구진이 자가측정 도구로 주요 감정과 정서 상태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응답자들의 12.8%는 '높은 수준의 심각한 울분'(2.5점 이상)을 겪고 있었으며, 이들을 포함한 54.9%는 울분의 고통이 지속되는 '장기적 울분 상태'(1.6점 이상)였습니다.
연구진이 2018년부터 동일한 척도로 시행해 온 울분 조사 결과 높은 수준의 심각한 울분 비율은 2018년(14.7%)보다는 낮았지만 지난해(9.3%)보다는 높았습니다.
또 응답자의 47.1%는 지난 1년 동안 건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험자에게 스트레스 유발 원인을 복수로 고르게 했더니 개인·가족의 건강 변화가 42.5%, 경제 수준 변화가 39.5%로 높게 나왔습니다.
또 응답자의 27.3%는 지난 1년 중 기존에 하던 역할이나 책임을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큰 정신건강 위기가 왔었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51.3%는 자살을 생각, 그중 13.0%는 실제로 시도했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러나 큰 정신건강 위기가 왔었다고 답한 이들 중 60.6%는 정신건강 위기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했는데, 그 주된 이유는 타인의 시선이나 낙인 등에 대한 두려움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조사 대상 1,500명 전체에게 '스트레스 경험 시 대처 방법'을 복수로 고르도록 했더니 '가족이나 친구에게 털어놓고 도움을 구한다'가 39.2%로 가장 높았고, '혼자 참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가 38.1%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를 총괄한 유명순 교수는 울분과 공정성 관계 등에 대해 "사회 안전·안정성을 높게 유지하고, (사회적) 믿음을 굳건히 하는 것이 개인과 집단의 정신건강을 위하는 길"이라고 해석하며 "앞으로 의료적 노력은 물론 사회적 차원에서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울화통 #울분 #스트레스 #정신건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6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