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한 노쇼 사기가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공공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된 공무원들의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서승택 기자입니다.
[기자]
기업과 공공기관 등을 사칭한 노쇼 사기 범죄.
올해에만 2,800건 넘게 발생했고 피해액도 414억 원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경기도에서 발생한 피해가 577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공공기관을 사칭한 노쇼 사기의 경우 실제 공무원의 이름과 부서, 직인 등을 도용해 '물품 구매'나 '대금 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공무원의 개인 정보는 홈페이지에 게시된 직원 정보를 통해 공개 된 경우가 많습니다.
피의자들은 이를 도용해 자영업자들에게 접근하고, 물품이나 음식 대금 결제 등을 유도하는데, 자영업자들이 해당 기관에 확인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존재하는 직원이기 때문에 이를 신뢰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이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전수 조사에 나서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학수 / 경기도의회 의원> "공공기관은 믿는다라는 심리를 노린 것 같고요. 정보가 너무 잘 보이는 것도 문제이고 또 비대면 예약 문화가 넓어진 틈을 타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와 도의회는 불필요한 공무원 개인정보 공개를 줄이고 익명화 조치에 나서는 한편, 각 기관의 피해 사례를 수집해 사칭 대응 매뉴얼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서승택입니다.
[영상취재 이태주]
[영상편집 김소희]
[그래픽 문수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서승택(taxi226@yna.co.kr)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한 노쇼 사기가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공공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된 공무원들의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서승택 기자입니다.
[기자]
기업과 공공기관 등을 사칭한 노쇼 사기 범죄.
올해에만 2,800건 넘게 발생했고 피해액도 414억 원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경기도에서 발생한 피해가 577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공공기관을 사칭한 노쇼 사기의 경우 실제 공무원의 이름과 부서, 직인 등을 도용해 '물품 구매'나 '대금 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공무원의 개인 정보는 홈페이지에 게시된 직원 정보를 통해 공개 된 경우가 많습니다.
피의자들은 이를 도용해 자영업자들에게 접근하고, 물품이나 음식 대금 결제 등을 유도하는데, 자영업자들이 해당 기관에 확인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존재하는 직원이기 때문에 이를 신뢰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이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전수 조사에 나서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학수 / 경기도의회 의원> "공공기관은 믿는다라는 심리를 노린 것 같고요. 정보가 너무 잘 보이는 것도 문제이고 또 비대면 예약 문화가 넓어진 틈을 타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와 도의회는 불필요한 공무원 개인정보 공개를 줄이고 익명화 조치에 나서는 한편, 각 기관의 피해 사례를 수집해 사칭 대응 매뉴얼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서승택입니다.
[영상취재 이태주]
[영상편집 김소희]
[그래픽 문수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서승택(taxi226@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