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설계 수명이 다한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2호기를 2033년까지 연장해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이재명 정부에서 처음 이뤄진 대형 원전 '수명 연장' 사례로, 원자력 생태계 복원에 탄력이 붙을 것이란 기대가 나옵니다.
배진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년 전 설계 수명 40년이 되면서 가동을 멈춘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2호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2호기의 수명 연장을 위한 세 차례의 심의 끝에 '계속 운전'을 허가했습니다.
안전성이 담보되는 것을 확인해 10년을 더 쓰자는 것으로, 2033년 4월까지 수명이 연장됩니다.
방사선환경영향 평가와 지진이나 해일 등 중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영향도 모두 안전 기준을 충족했다고 판단했습니다.
685메가와트급 원전으로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7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결정은 이재명 정부 첫 대형 원전 수명 연장 사례입니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원전을 합리적으로 섞어 쓰는 '에너지 믹스'가 이번 허가로 가시화되면서 가동이 중단된 다른 원전들의 허가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이재명 / 대통령 (9월 11일)>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원전도 있는 거 쓰고 가동 기간 지난 것도 안전성이 담보되면 확인되면 연장해서 쓰고, 짓던 거 잘 짓고, 그래서 이게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서 쓴다."
현재 국내 가동원전 26기 중 고리 2호기를 비롯한 10기가 계속운전을 신청해 심사를 진행 중입니다.
이들 원전 10기의 발전 용량은 전체 원전 발전 용량의 3분의 1 수준으로 'AI 인프라' 가동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영상취재 박태범]
[영상편집 박상규]
[그래픽 김동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설계 수명이 다한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2호기를 2033년까지 연장해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이재명 정부에서 처음 이뤄진 대형 원전 '수명 연장' 사례로, 원자력 생태계 복원에 탄력이 붙을 것이란 기대가 나옵니다.
배진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년 전 설계 수명 40년이 되면서 가동을 멈춘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2호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2호기의 수명 연장을 위한 세 차례의 심의 끝에 '계속 운전'을 허가했습니다.
안전성이 담보되는 것을 확인해 10년을 더 쓰자는 것으로, 2033년 4월까지 수명이 연장됩니다.
방사선환경영향 평가와 지진이나 해일 등 중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영향도 모두 안전 기준을 충족했다고 판단했습니다.
685메가와트급 원전으로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7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결정은 이재명 정부 첫 대형 원전 수명 연장 사례입니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원전을 합리적으로 섞어 쓰는 '에너지 믹스'가 이번 허가로 가시화되면서 가동이 중단된 다른 원전들의 허가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이재명 / 대통령 (9월 11일)>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원전도 있는 거 쓰고 가동 기간 지난 것도 안전성이 담보되면 확인되면 연장해서 쓰고, 짓던 거 잘 짓고, 그래서 이게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서 쓴다."
현재 국내 가동원전 26기 중 고리 2호기를 비롯한 10기가 계속운전을 신청해 심사를 진행 중입니다.
이들 원전 10기의 발전 용량은 전체 원전 발전 용량의 3분의 1 수준으로 'AI 인프라' 가동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영상취재 박태범]
[영상편집 박상규]
[그래픽 김동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