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사진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제공]


국제 금 시세가 고공 행진하는 배경에는 중국의 은밀한 금 '사재기'가 자리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현지시간 14일 보도했습니다.

FT는 중국 인민은행 산하 국가외환관리국이 공개한 올해 금 매입량은 지금까지 25t(톤)에 불과하지만, 이를 믿는 전문가들은 거의 없다고 했습니다.

소시에테제네랄(SG) 분석가들은 올해 중국이 실제 구매하는 금 총량은 최대 250t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일본 금시장 협회의 브루스 이케미즈 이사장은 현재 중국의 금 보유량은 약 5천t에 이를 것이라고 했습니다.

중국이 조용히 금을 사들이는 것은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미국과 갈등을 겪는 가운데, 달러를 지렛대로 한 미국 측 압박을 차단하기 위한 위험 관리 작업을 은밀히 진행하는 겁니다.

스위스 금 거래업체 MKS 팜프의 애널리스트 니키 실스는 중국이 탈달러화 시도에 따른 미국 측 보복을 우려해 최소한의 금 구매만 보고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의 이런 시도는 금 시세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듭니다.

FT는 중국이 실제로 사들인 금의 규모를 공개하지 않아 트레이더들이 금 가격의 향방을 예측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최근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이 중국에 금을 보관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는 최근 새로 사들인 금을 위안화로 결제하고, 이를 상하이금거래소 금고에 보관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국제 금융 시장에서 위안화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달러를 견제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효인(hij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