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로스앤젤레스 식료품 마트[EPA 연합뉴스 자료사진][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정부가 식료품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특정 품목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 면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현지시간 13일 보도했습니다.

관세 면제 대상에는 소고기와 감귤류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아직 무역협정이 체결되지 않은 국가에 대해서도 이번 조치를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았다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소고기 등에 대한 관세 면제는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지지 기반인 축산업자와 농민들을 자극할 수 있어 행정부 내에서도 실행 여부를 두고 이견이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높은 식료품 물가를 이유로 관련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에 추진하는 방안은 지난 9월 행정명령에 포함된 관세 면제 조치보다 범위가 더 넓다고 NYT는 보도했습니다.

이때는 미국에서 생산이 어려운 제품 중 행정부가 무역협정을 맺은 국가로부터 수입하는 품목으로 한정했습니다.

당시 제품군 목록에는 금속, 광물, 항생제, 항공기 부품과 커피, 파인애플, 아보카도, 바닐라빈 같은 농산물이 포함됐습니다.

식료품 관세 면제가 실제로 시행되면 미국 국민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 밀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경제 정책이 후퇴함을 의미한다고 NYT는 논평했습니다.

미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관세 등의 여파로 올해 식품 가격은 크게 올랐습니다.

특히 커피 가격은 9월 기준 작년 동기 대비 약 19% 급등해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하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도 관세 우려로 인해 8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

10월 지수는 94.6으로, 지난 4월(85.7) 이후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4일 미국 일부 지역에서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유권자들에게 민감한 장바구니 물가 문제를 파고드는 전략으로 승리했습니다.

결국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커피, 바나나, 코코아, 소고기 등 중남미에서 수입하는 농산물의 관세를 대거 철폐하거나 낮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백악관은 이날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과테말라, 엘살바도르와의 '상호무역협정 프레임워크' 공동성명을 통해 이런 내용의 농산물 관세 조정을 공식화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권정상(jus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