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사업 선정, 트럼프 임기 끝나는 2029년 1월까지"

"투자 프로젝트 공급업체 선정 시 한국업체 우선"

"조선협력투자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 한국기업에 귀속"

브리핑 진행하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산업통상부 제공][산업통상부 제공]


한국과 미국 정부가 오늘(14일) 3,500억 달러의 대미투자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지난 7월 30일 양국 정부가 관세협상을 두고 큰 틀의 합의를 본 지 약 3개월 반 만입니다.

이른바 '한미 전략적 투자'는 총 2천억 달러의 투자와 1,500억 달러의 조선 협력 투자로 구성됩니다.

2천억 달러의 투자의 경우, 미국 대통령은 미 상무장관이 위원장을 맡은 투자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사업을 선정합니다.

단, 투자위원회는 사전에 한국 산업통상부 장관이 위원장으로 있는 협의위원회와 협의해 '상업적 합리성'(충분한 투자금 회수가 보장되는 투자)을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분야로는 조선, 에너지, 반도체, 의약품, 핵심광물, 인공지능·양자컴퓨팅 등 사업 분야가 거론됐습니다.

사업선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2029년 1월까지입니다.

투자금 2천억 달러의 경우 연간 200억 달러 한도로 사업 진척 정도에 따른 자금요청(캐피털 콜) 방식으로 지출하되 외환시장 불안 등이 우려될 경우 납입 시기나 규모 조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프로젝트에 상품·서비스를 제공할 공급업체를 선정할 때 한국 업체를 우선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아울러, 미국은 전체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투자 SPV(특수목적법인 : Special Purpose Vehicle)’를 설립하고, 개별 프로젝트별로 ‘프로젝트 SPV’를 설립합니다.

투자 SPV는 다수의 개별 프로젝트 SPV를 관리하는 '우산형' SPV의 성격으로, 개별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해당 프로젝트 SPV가 수취하고 투자 SPV는 모든 프로젝트 SPV의 수익을 모아서 한국이 투자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합니다.

특정 프로젝트에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성공 프로젝트들을 통해 수익 보전이 가능하게 했다는 설명입니다.

투자 수익의 경우 원리금 상환 전까지 한국과 미국이 5:5로 나누되, 원리금 상환 후부터는 한국과 미국에 1:9의 비율로 분배될 예정입니다.

단, 이와 별개로 1,500억 달러의 조선협력투자에 따른 수익은 모두 한국 기업에 귀속됩니다.

[산업통상부 제공][산업통상부 제공]


한편, 정부는 특별법을 마련해 대미 투자를 전담하는 특별기금을 설립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금이 직접 외화를 조달하고, 외환시장 영향 최소화를 위해 외화자산의 운용수익을 활용하거나 외화채권을 발행하는 등 다른 수단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는 설명입니다.

김정관 장관은 "지난 3개월 반 동안 관세협상을 지켜보면서 응원해주신 우리 국민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며, "정부와 '원팀'으로 함께 해준 기업인들에게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3,500억 달러가 국익에 부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