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발간[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정부가 최근 소비 등 내수 개선과 반도체 호조로 경기가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14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 등 내수 개선, 반도체 호조 등으로 경기가 회복 흐름을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지난달에는 없던 '소비 등 내수 개선', '반도체 호조' 등 표현이 새로 등장했지만,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진단으로 해석됩니다.
9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1% 감소했지만, 설비투자는 12.7% 늘어난 점을 고려했습니다.
10월 소비자심리지수(109.8)가 전월보다 0.3포인트(p) 하락했지만, 지수 수준 자체가 높은 편입니다.
속보성 지표를 보면 지난달 국내 카드 승인액은 1년전보다 2.1% 증가했습니다. 백화점 카드승인액은 5.6% 늘었지만, 할인점 카드 승인액은 4.7% 감소했습니다.
국산 자동차 내수판매량은 11.4% 줄었습니다. 지난 8개월 연속 증가하다가 지난달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소매판매는 백화점 카드 승인액 증가 및 양호한 소비자심리지수 등은 긍정적 요인, 할인점 카드승인액 감소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판단했습니다.
10월 수출은 반도체 호조 등으로 1년 전보다 3.6% 증가했습니다. 일평균 수출액은 29억8천만달러로 1년 전보다 14.0% 증가했습니다.
9월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0% 증가했습니다. 광공업(-1.2)에서 감소했으나 건설업(11.4%), 서비스업(1.8%)에서 증가한 영향입니다.
10월 서비스업은 27조원으로 올해 들어 가장 컸던 일평균 주식거래대금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정부는 판단했습니다.
다만, 이동전화 번호이동자수가 9월 64만3천명에서 60만명으로 줄어든 점은 부정적 요인으로 평가했습니다.
10월 고용은 1년 전보다 19만3천명 증가했고, 물가는 2.4% 상승해 전월(2.1%)보다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정부는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고 건설투자 회복 속도, 미국 관세 부과 영향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황"이라며 "글로벌 경제는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하고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고 부정 요인을 꼽았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시진(se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