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사진]자산가액 기준으로 상위 10% 가구와 하위 10% 가구가 소유한 집값이 45배 정도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데이터처는 오늘(14일)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4년 주택소유통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통계는 건축물대장, 건축물대장, 주택공시가격, 재산세자료 등 주택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의 인구·가구·주택자료를 활용해 작성됐습니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3,300만원으로 전년(3억2,100만원)보다 상승했습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4채, 평균 면적은 86.4㎡였습니다.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8세, 평균 가구원수는 2.52명이었습니다.
주택 자산가액 기준 10분위(상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13억4천만원인 반면, 1분위(하위 10%)는 3천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10% 가구가 소유한 집값이 하위 10% 가구 집값의 44.7배 정도인 셈입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12억5,500만원)보다 8,500만원 늘었고, 하위 10%는 전년(3,100만원)보다 100만원 줄었습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채인 반면, 하위 10%는 0.97채로 집계돼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11월 1일 기준으로 무주택자였다가 1년 뒤 주택 소유자가 된 사람은 81만8천명이었습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유주택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6만5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11만3천명으로, 이중 대부분인 106만8천명이 집을 한 채 더 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유한 주택 수가 감소한 사람은 64만1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702만8천채로 전년보다 26만9천채 증가했습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9%로 나타났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시진(se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