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올해 초 발생한 해킹 사태 여파로 임원 수를 대폭 줄였습니다.
SK텔레콤은 고객 신뢰 회복과 인공지능(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통신(MNO)과 AI 양대 분야의 사내회사(CIC) 체제를 중심으로 조직개편 및 임원 인사를 단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신규 임원으로 승진한 이들은 김석원 MNO CIC 프로덕트·브랜드본부 브랜드 담당 등 11명입니다.
지난해 신규 승진 임원 수는 3명이었습니다.
다만, 퇴직 임원 수가 지난해보다 크게 늘면서 SKT 임원 수는 3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텔레콤은 "임원의 실질적 책임과 역할 강화를 위해 임원 규모를 줄였다"면서 "향후 경영 환경 및 전략 방향에 따른 수시 인사를 통해 전사적인 조직 유연성도 높인다"고 밝혔습니다.
통신 사내회사(MNO CIC)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두고 관련 기능과 역량 통합에 나설 방침입니다.
마케팅을 상품·서비스와 영업 중심으로 재편해 통신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엔터프라이즈(B2B) 사업은 기술 지원 조직을 전진 배치해 상품과 설루션 경쟁력 강화를 모색합니다.
네트워크는 AI·디지털 전환 실행력을 높이는 조직으로 구성하고 통신 분야 AI·디지털 전환을 가속합니다.
AI 사내회사(AI CIC)는 정석근·유경상 공동 CIC장을 중심으로 실질적 사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핵심 사업과 기술 중심의 역량 결집에 나설 계획입니다.
특히 AI CIC 내 팀 단위 조직은 수시로 이합집산이 가능한 프로젝트 형태로 구성해 AI를 둘러싼 빠른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사업 영역은 대표적 AI 서비스 에이닷 사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대고객(B2C) 분야와 AI 클라우드, 피지컬 AI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대기업(B2B) 분야, 메시징 사업과 인증 및 결제 사업을 담당하는 디지털플랫폼사업, 데이터센터 사업을 총괄하는 AI DC 등으로 재편합니다.
정재헌 SKT 최고경영자(CEO)는 "CIC 체제는 MNO와 AI 각 사업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업무수행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선택"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MNO 사업의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이뤄내겠다"고 했습니다.
SKT는 또 통합보안센터의 조직과 인력을 확충해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대외협력(CR)과 대외홍보(PR) 기능을 통합한 커뮤니케이션센터(Comm센터)를 신설했습니다.
주요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제너럴 카운슬(GC)을 만들었습니다.
'해킹 사태' SKT 과징금 1천348억…역대 최대(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최악 해킹 사고로 전체 이용자 2천300만여명의 개인 정보를 털린 SK텔레콤(이하 SKT)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역대 최대 과징금 1천348억원을 부과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7일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SKT에 과징금 1천347억9천100만원과 과태료 960만원을 각각 부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SKT 직영점. 2025.8.28 hwayoung7@yna.co.kr(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최악 해킹 사고로 전체 이용자 2천300만여명의 개인 정보를 털린 SK텔레콤(이하 SKT)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역대 최대 과징금 1천348억원을 부과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7일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SKT에 과징금 1천347억9천100만원과 과태료 960만원을 각각 부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SKT 직영점. 2025.8.28 hwayoung7@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덕재(DJY@yna.co.kr)
SK텔레콤은 고객 신뢰 회복과 인공지능(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통신(MNO)과 AI 양대 분야의 사내회사(CIC) 체제를 중심으로 조직개편 및 임원 인사를 단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신규 임원으로 승진한 이들은 김석원 MNO CIC 프로덕트·브랜드본부 브랜드 담당 등 11명입니다.
지난해 신규 승진 임원 수는 3명이었습니다.
다만, 퇴직 임원 수가 지난해보다 크게 늘면서 SKT 임원 수는 3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텔레콤은 "임원의 실질적 책임과 역할 강화를 위해 임원 규모를 줄였다"면서 "향후 경영 환경 및 전략 방향에 따른 수시 인사를 통해 전사적인 조직 유연성도 높인다"고 밝혔습니다.
통신 사내회사(MNO CIC)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두고 관련 기능과 역량 통합에 나설 방침입니다.
마케팅을 상품·서비스와 영업 중심으로 재편해 통신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엔터프라이즈(B2B) 사업은 기술 지원 조직을 전진 배치해 상품과 설루션 경쟁력 강화를 모색합니다.
네트워크는 AI·디지털 전환 실행력을 높이는 조직으로 구성하고 통신 분야 AI·디지털 전환을 가속합니다.
AI 사내회사(AI CIC)는 정석근·유경상 공동 CIC장을 중심으로 실질적 사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핵심 사업과 기술 중심의 역량 결집에 나설 계획입니다.
특히 AI CIC 내 팀 단위 조직은 수시로 이합집산이 가능한 프로젝트 형태로 구성해 AI를 둘러싼 빠른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사업 영역은 대표적 AI 서비스 에이닷 사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대고객(B2C) 분야와 AI 클라우드, 피지컬 AI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대기업(B2B) 분야, 메시징 사업과 인증 및 결제 사업을 담당하는 디지털플랫폼사업, 데이터센터 사업을 총괄하는 AI DC 등으로 재편합니다.
정재헌 SKT 최고경영자(CEO)는 "CIC 체제는 MNO와 AI 각 사업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업무수행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선택"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MNO 사업의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이뤄내겠다"고 했습니다.
SKT는 또 통합보안센터의 조직과 인력을 확충해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대외협력(CR)과 대외홍보(PR) 기능을 통합한 커뮤니케이션센터(Comm센터)를 신설했습니다.
주요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제너럴 카운슬(GC)을 만들었습니다.
'해킹 사태' SKT 과징금 1천348억…역대 최대(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최악 해킹 사고로 전체 이용자 2천300만여명의 개인 정보를 털린 SK텔레콤(이하 SKT)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역대 최대 과징금 1천348억원을 부과했다.개인정보위는 지난 27일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SKT에 과징금 1천347억9천100만원과 과태료 960만원을 각각 부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SKT 직영점. 2025.8.28 hwayoung7@yna.co.kr(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최악 해킹 사고로 전체 이용자 2천300만여명의 개인 정보를 털린 SK텔레콤(이하 SKT)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역대 최대 과징금 1천348억원을 부과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7일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SKT에 과징금 1천347억9천100만원과 과태료 960만원을 각각 부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SKT 직영점. 2025.8.28 hwayoung7@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덕재(DJ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