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광렬 차병원∙차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이 K셀의 우수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차병원 제공][차병원 제공]


아시아 태평양 생식의학 발전을 논의하기 위해 NUS-CHA 심포지엄 열렸습니다

차 의과학대학교와 차병원은 지난 10일 싱가포르 세인트 레지스 싱가포르에서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와 함께 제2회 NUS-CHA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생식의학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연구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심포지엄에는 차광렬 차병원·차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과 홍진욱 싱가포르 한국 대사, 정엽생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의과대학장, 황종웨이 부학장, 윤호섭 차 의과학대학교 연구부총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시드니 공과대학교와 싱가포르 연구기관 등 국제 연구진도 참여해 노화와 세포치료제 연구 성과를 공유했습니다.

차광렬 연구소장은 난소 노화와 세포치료제 연구를 주제로 특강했습니다. 연구소는 배아줄기세포와 태반, 제대혈 기반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난소 회복 실험에서 자연 노화 생쥐의 배란 주기 회복과 에스트로겐 분비 증가 등 유의미한 결과를 확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차 연구소장은 세포치료제가 노화 대응과 질환 치료 분야에서 전략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국제 공동연구 확대 의지를 밝혔습니다.

정엽생 의과대학장은 줄기세포 기반 난소 기능 개선 가능성이 임상과 공중보건 분야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체외수정이 임신을 돕지만 난소 기능을 회복시키지 못하는 점을 언급하며, 난소 노화를 지연 또는 재생하는 세포치료제의 임상적 가치가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양 기관이 임상과 기초과학 역량을 기반으로 협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진욱 대사는 양국 수교 50주년에 의미 있는 학술 교류가 이뤄진 데 대해 감사 뜻을 전하며 향후 교류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미세유체와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보조 생식 플랫폼, 난소 노화의 세포 노화 메커니즘, AI 기반 3D 배아 이미징, 인공 자궁내막 모델, 체외수정 경험과 실험실 자동화, 성공률 향상을 위한 정자 선택 전략 등 다양한 연구가 발표됐습니다.

NUS-CHA 심포지엄은 2024년 양 기관이 연구 및 학술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한국에서 첫 행사를 연 데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마련됐습니다. 두 대학은 인력과 연구 인프라를 공유하며 생식의학 분야 글로벌 인재 양성과 공동연구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줄 좌로부터) 4번째 정엽생 싱가포르국립의대 학장, 차광렬 차병원∙차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 홍진욱 싱가포르 주한대사, 윤호섭 차 의과학대학교 연구부총장[차병원 제공][차병원 제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욱(DK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